Github 사용하기
정리된 파일을 Github에 올리는 것은 정말 간단합니다.
오랜만에 해서 너무 버벅거리는 감이 있어서 여기에 간단히 정리해 놓으려고 합니다.
1. Github repository 생성하기
일단 내 github에 들어가서 새로운 repository를 파봅시다.
이것은 컴퓨터에 폴더하나를 생성하는 행위라고 보면 됩니다.
새로운 repository의 이름을 git_ex라고 정하고 생성했습니다.
이때, http://github.com/juwonchoi/git_ex.git이라는 주소를 잘 기억해둬야 합니다.
repository를 생성하면 이런 code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사실 이 코드가 이 글에 하려는 전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실행해보겠습니다.
2. Github에 업로드할 파일들이 담긴 폴더로 이동 후 Working directory설정
cmd에 들어가 cd 명령어를 이용해 github에 업로드할 폴더로 이동해줍시다.
일단 바탕화면에 github_ex라는 폴더를 만들고,
hello_md라는 마크다운 파일을 하나 생성해줬습니다.
'git status'는 git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status'라는 명령어를 치면 'not a git repository'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이것은 'git init'명령어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해당 디렉토리가 아직 git의 working directory로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git init' 명령어를 통해 해당 디렉토리를 working directory로 지정해줍시다.
3.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설정
'git remoste add origin' 명령어와 위의 1번 과정에서 기억했던 주소를 활용하여 해당 폴더를 원격 저장소와 연결해줍니다.
4. Github에 파일 올리기
Github에 파일이 올라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it add ( Working directory -> Staging area )
2. git commit ( Staging area -> Local repository )
3. git push ( Local repository -> Remot repository )
3가지 과정을 통해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딱 3가지만 기억합시다!!
add => commit => push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직 add 되지 않은 hello_md.md라는 파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dd명령어를 통해서 Staging area로 이동해줍시다.
'git add .'을 통해 파일을 한 번에 옮길 수 있습니다.
'git commit'명령어를 통해 Local repository로 이동시켜 줍니다.
뒤에 붙은 -m 'test upload'는 내가 기록할 메세지를 남기는 명령어입니다.
마지막으로 'git push'명령어를 통해서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해줍니다.
5. 업로드가 잘 되었는지 확인
github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hello_md.md 파일이 잘 업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